AWS

[AWS] RDS 생성하기

판다조아 2022. 11. 7. 16:35

RDS란?

Amazon Relational Database Service(Amazon RDS)는

AWS 클라우드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

더 쉽게 설치, 운영 및 확장할 수 있는 웹 서비스입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RDS 생성하기

 

서비스 메뉴에 데이터베이스 → RDS를 클릭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데이터베이스 생성 클릭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표준생성 클릭!

6가지의 데이터베이스 엔진 중

원하는 엔진을 선택해 줍니다.

저는 PostgreSQL로 했습니다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프로덕션이나 개발/테스트는 좀 더 높은 DB를 구축할 수 있으나

요금이 발생하므로 프리티어로 선택해 줍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데이터 베이스 정보를 입력합니다.

마스터 사용자 이름과 암호는

실제 DB에 접근할 때 필요한 중요한 정보입니다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인스턴스 구성은 기본(db.t3.micro)을 선택합니다.

(성능에 따라 요금이 다르게 발생합니다!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기본으로 체크되어 있는

스토리지 자동 조정 활성화 부분을 해제해줍니다.

체크상태로 넘어갈 경우 개발 진행 중

임계값 초과시 자동으로 스토리지가 늘어나

과금이 될 수 있습니다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테스트 환경이므로

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도록

퍼블릭 액세스를 '예'로 체크해 주었습니다.

'아니요'를 선택할 경우

외부접속이 불가능하며 EC2에서만 연결이 되게 합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추가 구성을 클릭 후 데이터 베이스 이름을 지정해 줍니다.

앞서 설정했던 마스터 사용자 이름, 암호와 마찬가지로

실제 DB에 접근할 때 필요한 중요한 정보입니다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월별 추정 요금을 확인하고

데이터베이스 생성을 눌러주면 끝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데이터베이스 생성중입니다.

몇분 정도 시간이 소요됩니다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생성된 database-1을 눌러줍니다!

(상단의 작업을 클릭하면

중지, 재부팅, 삭제 등의 작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.)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연결&보안 부분을 보면

엔드포인트와 포트정보가 있습니다.

이 또한 외부에서 DB 접근시 필요한 중요한 정보입니다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구성을 클릭하면 DB이름, 마스터 사용자 이름 등

인스턴스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간단하게 DBeaver로 접속해 보겠습니다!

Host : 엔드포인트

Database : 초기 데이터베이스 이름

Username : 마스터 사용자 이름

Password : 마스터 암호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+ DBeaver 접속에러)

 

timed out 에러가 떴습니다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연결&보안 → VPC 보안 그룹 클릭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하단의 인바운드 규칙을 눌러줍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우측의 인바운드 규칙 편집 클릭~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위와 같이 전체로 설정 후 규칙 저장을 해줍니다.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연결 성공~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+ python 연동)

주피터를 이용해

파이썬에서도 연동 후 확인해 보겠습니다!

 

 

 

간단한 테이블을 생성 후 조회해 본 결과

잘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~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RDS 생성하기 완료~!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참고